본문바로가기
  • HOME
  • 진료과
  • 신경과

진료과

신경과

인간사랑과 생명존중을 실천합니다.

이동

건강 FAQ

자다가 우는 내아이, 괜찮을까?

자다가 우는 내아이, 괜찮을까?

수면장애 중, 악몽, 야경증, 몽유병이 가장 많아 

악몽장애, 3~5세 소아의 10~50%가 겪어

부모의 따뜻한 품이 가장 좋은 치료제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한번쯤 밤에 소스라치게 놀라 잠에서 깨어 소리를 지르거나 우는 등의 수면장애를 보이는 아이들 때문에 밤잠을 설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린이의 수면장애는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영아기 때는 아이의 까다로운 성격 때문인 경우가 많고, 유아기에는 불안감, 학동기에는 천둥번개, 친구 및 선생님과의 관계, 유괴 등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발생한다. 

아이들에게서 나타나기 쉬운 수면장애인 악몽장애, 야경증, 몽유병에 대해 을지대학병원 신경과 오건세 교수(042-611-3441)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악몽장애, 여아에서 더 흔하게 발생

수면중에 무서운 꿈으로 인해 깨는 악몽장애는 수면 후반부나 새벽에 잘 발생한다. 이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은 특징적으로 감정이 매우 격앙되어 있으며, 몽유병이나 야경증과는 달리 악몽을 현실과 혼동될 정도로 생생하게 기억한다.

악몽장애는 대개 3~5세 소아의 10~50%에서 나타나는데, 특히 10~12세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며, 특히 여아에서 2~4배 정도 더 흔하게 나타난다. 유병률은 1~6% 정도다.

악몽장애는 약 60%정도에서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어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에 그 빈도나 강도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 아이들의 경우 악몽은 입학, 전학, 이사 또는 두려움에 떨게 하는 사건, 텔레비전, 영화 시청시 무서운 장면을 보고 생길 수 있으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의 주 증상이기도 하다.

소아에서의 악몽장애는 나이가 들면서 차차 좋아지기 때문에 대부분은 치료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정도가 심하면 심각한 고통을 유발하거나 아이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평소 악몽을 자주 꾸는 아이들에게는 부모의 지지와 위안이 필요하며, 무서운 내용의 비디오, 만화책 등은 악몽을 유발할 수 있어 금지시키는 것이 좋다. 심한 경우에는 병원 찾아 진찰을 받은 후 약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부모의 병에 대한 이해가 중요

4~8세의 약 1~5%정도에서 나타나며 수면시간 전반 1/3부분에 갑자기 잠자리에서 일어나 돌아다니는 몽유병은 조용하기도 하고 흥분되어 있기도 하는 등 증상이 복잡하고 지속시간에도 변화가 많다. 몽유병이 발생하면 복잡한 행동을 보이는 데 목적 없이 방황하고, 이유 없이 물건들을 여기에서 저기로 옮기거나 가구를 이동시킨다. 또 옷장에 소변을 보기도하고, 집 밖으로 나가기도 한다. 드물게는 눈은 크게 뜨고 있으나 초점이 없어 보이고, 중얼거리기도 하며 광폭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몽유병 중에는 대화가 거의 불가능하며 깨어난 이후 몽유병 중의 행동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몽유병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스트레스, 극심한 피로, 수면박탈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을지대학병원 신경과 오건세 교수는 “몽유병의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부모의 병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부모에 대한 상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하며 또 “몽유병은 사고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 1층에서 잠을 자도록 하고, 침실 문을 잠그고, 창문에 두꺼운 커튼을 쳐서 몽유병 중에 밖으로 나가는 일이 없도록 하며, 침실에는 몽유병 중에 다칠 수 있는 물건을 치워놓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야경증, 가족력이 있는 아이에게서 더 심해

야경증은 가장 극적인 각성장애로 수면 중에 일어나서 강한 발성과 동작, 고도의 자율신경반응을 동반하는 심한 공포와 공황상태를 말한다. 

이 증상은 수면의 처음 1/3부분에서 발생하며 4~12세 아이들, 특히 여아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야경증의 원인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부모 모두에게 야경증이 있었던 경우 60%, 한쪽 부모만 있었던 경우에는 45%에서 아이가 야경증을 보인다. 이밖에 피로나 심한 스트레와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특히 낮에 너무 많이 놀았거나 힘든 일을 겪었을 경우 이런 증상을 더 많이 보인다. 

 

주된 증상으로는 극도의 공포감이 동반된 괴성으로 시작해 벽을 치거나 방에서 놀란 듯이 뛰어 돌아다니는 등 극심한 불안감을 보이며, 맥박과 호흡이 빨라지고 동공이 확대되며 식은땀을 흘리기도 한다. 

아이가 이런 증상을 보일 때, 부모가 화를 내거나 다그치는 것은 오히려 야경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지난밤에 있었던 일에 대해 말을 하거나 야단을 치는 것도 수치심과 불안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한다. 아이가 이 같은 증상으로 보일 경우, 사고의 위험이 없다면 그냥 내버려두거나 품에 안아주어 아이를 안정시키는 것이 좋다. 


진료과 콘텐츠 담당자